근로소득 공제 혜택 상세
* 기본 공제: 2025년 기준, 근로소득에서 112만 원을 우선 공제해요 .
* 추가 공제: 기본 공제 후 남은 금액의 30%를 추가로 공제해 줍니다 .
* 부부 합산: 맞벌이 부부의 경우, 각각의 소득에 대해 개별적으로 공제를 적용하므로, 부부 모두 기초연금 수급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.
예를 들어, 세전 월급이 250만 원인 경우를 가정해 볼게요 . 먼저 112만 원을 공제하면 138만 원이 남고, 이 금액의 30%인 41만 4천 원을 추가로 공제하면 최종 소득인정액은 96만 6천 원이 됩니다 . 이는 기초연금 수급 기준을 충족하는 데 매우 유리하게 작용해요.
추가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정보
* 수급 희망 이력 관리: 기초연금 신청 후 탈락하더라도, "수급 희망 이력 관리"를 신청해 놓으면 소득인정액 기준이 상향되는 등 수급 가능성이 높아질 경우 재신청 안내를 받을 수 있어요 .
* 정확한 계산: 본인의 소득인정액을 정확하게 계산하려면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홈페이지에서 "소득인정액 모의 계산"을 이용하는 것이 좋아요 .
* 문의처: 궁금한 사항은 보건복지부 129 또는 국민연금공단 1355로 문의하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.
```
```
근로소득 외에도, 자녀로부터 받는 용돈은 기초연금 계산에 반영되지 않으므로 걱정 없이 받으셔도 됩니다 . 하지만, 고급 자동차나 회원권 등 사치품을 소유하고 있다면 기초연금 수급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요 . 특히, 전기자동차 구입 시 국가 보조금을 받아 차량 가격이 4천만 원을 넘는 경우에도 해당될 수 있습니다 .
기초연금은 노후 생활에 중요한 자금원이 될 수 있으므로, 꼼꼼히 확인하고 준비하여 최대한 많은 혜택을 받는 것이 중요해요 .